모래전단특성과 점토전단특성의 처음 설명 부분을 보시면, 전단저항 원리가 처음에 나옵니다.
둘다 Coulomb의 전단강도 설명을 하면서 식을 썼는데요.
1. 모래전단특성과 점토전단특성이 같은 Coulomb식을 사용하는 건가요?
2. 후술해주신다고 하셨는데, 점착력의 c 와 강도정수의 c 가 다른건가요?
3. 점착력의 c과 강도정수의 c가 다른 것이라면, 전단저항각 또는 내부마찰각 Φ이랑 강도정수 Φ도 다른건가요?
4. 1에서 질문드린 내용에서 두 전단특성이 같은 Coulomb식을 사용하는 것이라면, 모래전단특성과 점토전단특성의 차이는 전단저항원리인 건가요? 식이 같은데 둘이 구분이 되어 있어서 조금 헷갈립니다
1. 네 같은 식으로 설명합니다. 즉 전단강도의 일반식으로 출발해 교재에서 모래 또는 점토전단저항을 설명하고 있음을 참고해 주세요
2.3표현이 다른 겁니다. c는 점착력이라하고 Φ는 전단저항각(미국표현)또는 내부마찰각(일본)이라 하며 전단강도의 중요한 것으로 c, Φ를 강도정수라는 별명이 붙은겁니다.예로 투수에서 D10을 유효경이라 하듯.참고로, 실무적으로는 강도정수란 용어는 많이 쓰이는 않아요
4. 1답을 참고해 주시고 , 네 전단저항원리가 다릅니다. 이해를 위해
순수모래:전단강도=σtan Φ 순수점토(UU시험):전단강도=C
혼합토: 전단강도=c +σtan Φ가 되겠지요
그럼,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