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374 마지막 동적물성치에 대한 질문입니다.
전단탄성계수, 감쇠비, 액상화저항응력비 3가지는 내진 물성치 라고 설명을 해주셨는데요
나머지 동탄성계수와 동포화송비는 동탄성 거동을 하는 것이다라고 말씀을 해주신건가요?
동탄성 거동 + 소성을 말씀해주셨는데 어떠한 설명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추가적인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374 마지막 동적물성치에 대한 질문입니다.
전단탄성계수, 감쇠비, 액상화저항응력비 3가지는 내진 물성치 라고 설명을 해주셨는데요
나머지 동탄성계수와 동포화송비는 동탄성 거동을 하는 것이다라고 말씀을 해주신건가요?
동탄성 거동 + 소성을 말씀해주셨는데 어떠한 설명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추가적인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1.동탄성은 동적인 하중이 왔을 때 변형이 생기고 하중이 없어지면 원래상태로 회복되는 것입니다.예로 지하철을 타기 위해 정거장에 있으면 부르르 떨리며 진동 즉 변형이 있고 지하철이 지나가면 언제 그랬느냐는 식으로 원래의 모습이 됩니다.이때 동탄성계수나 동포아슨비가 적용됩니다. 물론 지진이 약한 것도 이에 해당되나 내진설계에서는 관심이 아니겠지요
2.지진이 크면 지진후에도 잔류되는 변형이 남게 되고 즉 소성변형이 생기게 됩니다. 지진시 액상화를 검토하게 되어 3가지를 내진물성치로 설명한 겁니다.또한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비는 교p365하단처럼 변형률에 따라 값이 달라지므로 현장과
실내시험결과를 종합해야한다고 설명했습니다
3.참고로 탄성과 소성은 교p203,534를 참고해 주세요
그럼,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