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교재 p500 공내재하시험 부분에 대해서 질문있씁니다.
이*형2024.04.04답변완료

안녕하세요 교수님.

강의 내용 중 궁금사항이 있습니다.

공내재하시험에 관한 내용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p500 아래쪽 결과 내용을 보면 변형계수를 구하는 E 값과 K 값이 있습니다

여기서 K 값이 지반의 수평반력계수라고 써있는데요

 

이 값이 저희가 일반적으로 설계(sunex 또는 마이다스)에 사용하는 수평지반반력계수와 같은것일까요?

 

그렇다면 첨부파일로 보내드린 것과 같은, 지반조사보고서에 부록쪽에 주어지는 공내재하시험에서, K 값을 수평지반반력계수로 설계에 적용을 해도 가능한 부분인가요?

 

감사합니다.

답변이춘석2024.04.06 22:47

1.질문과 같이 설계에 사용하는 수평지반반력계수이며(교p537참고), 공내재하시험결과를 설계에 적용해도 가능한데 환산재하폭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값은 교p538과 같이 기초판크기가 커지면 값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2.첨부파일의 4.도로교설계기준해설에 보면 연직과 수평방향지반반력계수산정식이 있는데 실무에 많이 쓰는 식이고 국내에서는 표준관입시험치를 주로 적용하고 얕은 기초나 말뚝기초에 해당됩니다.

3. 기초는 환산재하폭을 구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흙막이의 경우 주열식으로 국내기준이없어 일본자료인 10m를 첨부파일의 6에서 언급하는데 문제가 좀 있다고 합니다

4.보통 흙막이의 경우 첨부파일1,2의 프로그램매뉴얼에서와 같이 표준관입시험에 근거한 경험값을 이용하고 환산재하폭은 적용하지 않고 있어요

5.정리:이론적으론 환산재하폭을 고려해서 적용한다(구체적 식은 연구가 필요함)

첨부파일은 010-3349-1051로 이메일주소보내면 메일로 송부합니다

그럼,수고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