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옹벽은 흙과 접하는곳이 앞쪽으로 경사지게 계획되어 벽마찰각을 고려했을때 주동토압(Pa)이 수평(<--)과 연직(아래방향)으로 작용하는데 만약 옹벽이 기대기식으로 뒷쪽으로 경사져있을경우 토압작용방향이 궁금합니다.
옹벽이 기대기식으로 계획될경우 안정검토는 시력선을 이용한 안정조건 검토가 더 합당할거같은데....교수님의 의견을 구합니다...
1.기대기옹벽은 하중이 옹벽자중, 파괴쐐기의 하중등이고 파괴쐐기의 하중은 파괴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파괴쐐기높이의 3분에1에 위치시킴니다(아래 그림참조)
2.KDS 11 80 20이 기대기옹벽의 설계기준인데 내용은 같지만 간략하여 건설공사비탈면설계기준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그림도 그곳에서 인용했습니다
3.개념적으로는 석축에 사용하는 시력선으로 검토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나 설계기준에서는 기대기옹벽은 중력식옹벽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외적안정(전도,활동,지지력)과 내적안정(전단력, 모멘트)을 검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럼,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