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 34페이지 맨 아래쪽 그래프 질문입니다.
(3) 전단강도
①비배수조건(비압밀) 그래프 세로축은 각각 점착력과 변형계수이고,
②배수조건(압밀) 그래프의 세로축이 의미하는것은 내부마찰각인가요?
②그래프를 보면 온도가 높아질수록 내부마찰각이 커진다는 의미인 것 같은데, 온도가 높아져서 내부마찰각이 커지고 이로 인해 배수량이 증가한다는 메커니즘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하지만, 온도가 높아지면 왜 내부마찰각이 증가하는지, 내부마찰각이 증가하면 배수량이 왜 커지는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내부마찰각이 아닌 점착력으로 설명했을 때에는 '온도가 높아지면 점착력이 작아지고, 압밀조건에서도 점착력이 작아지니 투수성이 증가하여 물이 잘 빠져나가 압밀효과가 커진다' 라고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는데, 온도변화에 따른 내부마찰각의 변화는 이해가 잘 안되네요 ㅜ
그리고, 배수조건과 비배수조건에서의 그래프가 나누어져 있어서 드리는 질문인데, 비배수 조건에서는 온도에 따라 내부마찰각의 크기가 변하지 않는건가요? (마찬가지로 배수조건에서는 점착력과 변형계수가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는건가요?)
1. 그림의 세로축들은 질문과 같습니다.
2.내부마찰각(전단저항각):온도가 증가하면 물의 점성이 작아지고 활성화가 되어 배수성이 좋아짐.이의 전제는 삼축시험에서 CD시험에 해당되며 배수원활로 강도증가가 커짐을 의미함.반대로 온도가 영하라면 물이 잘 안빠져 나가겠지요.물론, 물이 얼어 있어 강도는 크겠네요
3.비배수조건은 삼축시험에서 UU시험에 해당되고 온도상승이 결합력상실로 되어 점착력이 감소하네요
4,UU시험에서 강도정수는 점착력으로 대표되고 CD시험에선 전단저항각으로 대표됩니다. 배수조건에서 변형계수를 산정했다면 값이 커지게 되겠네요
5.정리:전단강도는 비배수시 불리, 배수시 유리하고 압축성은 침하량증가, 침하소요시간은 단축(투수계수증가때문)의 양면성을 갖네요. UU조건과 CD조건을 혼합해서 생각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