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그림은 상재하중증가시 간극비감소를 나타내며 그 경향은 액성한계크기따라 다르다는 설명입니다. 즉 다른 흙이란 이야기고 예시로 액성한계큼은 통일분류로 CH, 보통은 CL, 작음은 ML로 이해하면 좋겠네요
2.액성지수감소는 3)에서 언급되어 있어요.(그림위치상 오해의 우려가 있음을 느끼네요)
3.같은 흙이라면 액성한계는 위치나 심도에 따라 같은 값이 되겠죠. 액성한계는 상수이고 액성지수는 함수비에 따라 변수가 되지요.
4.참고로, 그림은 김상규교수님의 연약지반의 공학적 이해 p25를 모식도로 만든것입니다. 그림에서 WL(L은 아래첨자임)은 액성한계를 나타냅니다. 우리는 보통 LL로 표시했지요
교p32참고자료.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