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학원강의
  • 온라인강의
  • 무료강의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p440 경시효과 그래프에 대한 질문 (건기협)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질 및 기초기술사 정규이론(1년 수강) > 이춘석
글쓴이 한*아카데미 등록일 2025.04.22 답변상태 답변완료
  • p.440 [점토압축의 경시효과] 그래프에 대한 질문입니다.

     

    일단, 그래프에 표시된 대로 세로축은 간극비, 가로축은 하중이 되어있고 강의에서 설명하신 대로 여러개의 대각선은 시간(아래로 갈수록 증가)로 이해하였습니다.

     

     1. A→B: 퇴적 및 자중압일 과정에서 하중이 증가하고 압밀됨에 따라 간극비가 줄어드니 하향하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압밀과정에서 시간이 흐름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유로 같은 대각선(같은 시간선)상에서 이동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1차압밀 과정이라고 이해해도 되는건가요?

     

     2. B→C: 성토 완료 후 2차 압밀 과정으로, 상재하중 변화없이 시간증가, 간극비 감소로 아래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것은 이해가 됩니다.

     

     3. C→D→E, E→F, F→G: 재하, 제하 재재하 과정에서 대각선(시간선)을 가로지르며 시간을 역행, 순행 하는 것으로 표현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대각선들을 무시하고 보면 과정이 이해가 가는데 시간선을 추가하여 표현한 의미가 궁금하네요. 

     

     4. 경시효과란 지연압축, 유사선행압밀효과, 2차 압밀의 선행압밀하중영향과 같은 의미이고,

    성토완료 후(1차 압밀 종료) 자중에 의해 2차 압밀이 진행되어 입자의 재배치로 인한 간극비 감소가 발생되며,

    재하 시(C→D) 2차압밀의 효과로 인해 간극비 감소가 미미하다가 다시 1차 압밀을 일으키는 하중에 도달(D점)하게되     면 이때 의 하중을 선행압밀하중으로 취급한다. 

    그리고, 2차압밀로 인해 C→D 과정에서 과압밀점토의 거동을 보이므로 유사과압밀이라 한다.

        

    이렇게 이해하면 되는걸까요?

  • 이춘석 |(2025.04.22 11:39)

    1항:압밀시험에서 e-logp곡선은 여러하중단계에 대해 각 하중의 압밀종료시 간극비를 산정하고 각 점들을 plot한후 연결한 선입니다. 1차압밀로 이해하면 됩니다. 참고로 1차와 2차압밀개념은 2가지가 있지요 즉 A가정(전통적 개념인 1차완료후 2차발생, 실무적 취급용이),B가정(2차도 1차와 어느정도 병행하여 발생)인데 연약층이 두떠운 경우 B가정이 실제와 부합하지요(예로 과년도108회3교시6번참조)

    2항:질문자내용과 같음

    3항;그림에서 B에서 C점까지의 기간이 1만년이라하면, 지연압축이 끝나고 C에서 D로  1만년동안 퇴적이 진행하게 되면 AB의 연장선에 위치하게 됩니다. 즉, 1만년동안 지연압축없이 지속적 퇴적이 되었다면 A에서 B로, B에서 D로...이런식이 되었겠죠. 물론 자연지반의 퇴적과정으로 부터 그림을 파악하는 것은 곤란해요. 언제 퇴적되고 얼마나 지연압축이 생겼고를 알수 가 없기때문으로 경시효과를 설명하는 개념적그림이네요. 또한 1만년지연압축인지는 몰라도 그런지반이라치고 우리가 시료를 채취하여 압밀시험을 하면 CDEFG그림을 얻게 되고 Po, Pc로 OCR을 산정할 수 있네요 참고로 1만년이 아니고 5천년이라하면 C점이 교재에 표시된 위치보다 위에 표시될거고 그러면 D점도 AB선상의 위로 감. 즉 Pc값이 작게 산정됨을 알 수 있네요

    4항:질문자의 내용과 같음

    네, 그럼 수고하세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