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440 [점토압축의 경시효과] 그래프에 대한 질문입니다.
일단, 그래프에 표시된 대로 세로축은 간극비, 가로축은 하중이 되어있고 강의에서 설명하신 대로 여러개의 대각선은 시간(아래로 갈수록 증가)로 이해하였습니다.
1. A→B: 퇴적 및 자중압일 과정에서 하중이 증가하고 압밀됨에 따라 간극비가 줄어드니 하향하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압밀과정에서 시간이 흐름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유로 같은 대각선(같은 시간선)상에서 이동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1차압밀 과정이라고 이해해도 되는건가요?
2. B→C: 성토 완료 후 2차 압밀 과정으로, 상재하중 변화없이 시간증가, 간극비 감소로 아래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것은 이해가 됩니다.
3. C→D→E, E→F, F→G: 재하, 제하 재재하 과정에서 대각선(시간선)을 가로지르며 시간을 역행, 순행 하는 것으로 표현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대각선들을 무시하고 보면 과정이 이해가 가는데 시간선을 추가하여 표현한 의미가 궁금하네요.
4. 경시효과란 지연압축, 유사선행압밀효과, 2차 압밀의 선행압밀하중영향과 같은 의미이고,
성토완료 후(1차 압밀 종료) 자중에 의해 2차 압밀이 진행되어 입자의 재배치로 인한 간극비 감소가 발생되며,
재하 시(C→D) 2차압밀의 효과로 인해 간극비 감소가 미미하다가 다시 1차 압밀을 일으키는 하중에 도달(D점)하게되 면 이때 의 하중을 선행압밀하중으로 취급한다.
그리고, 2차압밀로 인해 C→D 과정에서 과압밀점토의 거동을 보이므로 유사과압밀이라 한다.
이렇게 이해하면 되는걸까요?